

현재 위치 : 말씀영상 > 칼 럼
우상(Idol)이란 무엇인가?
우리는 우상이라고 하면 흔히 고대 이방 민족들이 섬기던 나무나 돌로 만든 형상을 떠올립니다. 하지만 성경이 말하는 ‘우상’(Idol) 은 단지 눈에 보이는 형상이나 조각상이 아닙니다. 우상이란, 하나님보다 더 사랑하고, 더 신뢰하며, 더 의지하는 모든 것입니다. 그것이 물질이든, 사람이든, 생각이든, 나 자신이든 상관없습니다.
1. 우상의 정의.
신학적으로 우상이란, 하나님을 대신해 인간이 만들어낸 피조물을 절대화하고 숭배하는 행위 또는 대상입니다. 성경은 이렇게 말합니다: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두지 말라… 너를 위하여 새긴 우상을 만들지 말고 그것들에게 절하지 말며 그것들을 섬기지 말라.” – 출20:3–5-
“그들은 썩어지지 아니하는 하나님의 영광을 썩어질 사람과 짐승의 형상으로 바꾸었으며… 피조물을 조물주보다 더 경배하고 섬기니라.” – 롬 1:23, 25-
우상은 단지 물질적인 것이 아니라, 우리의 마음과 태도의 방향성입니다. 인간은 보이는 것을 섬기고 싶어하고, 만질 수 있는 것에 안정을 느끼며, 자기 뜻을 반영해주는 존재를 신으로 삼으려는 본능을 갖고 있습니다.
2. 우상의 본질.
우상의 본질은 단순한 물체 숭배가 아니라 예배의 방향이 틀어지는 것입니다. 예배는 본래 하나님께만 드려져야 합니다. 그러나 인간은 자기 욕망과 두려움을 담아 ‘나를 만족시켜 줄 무언가’를 신처럼 만들어냅니다.
왜곡된 예배: 하나님께 드려야 할 찬양, 신뢰, 사랑을 다른 대상에 돌리는 행위
자기 투영: 우상은 인간 욕망의 투영이며, 결국 인간 자신을 숭배하는 셀프 예배의 한 형태
창조 질서의 전복: 하나님-인간-피조물의 질서가 무너지고 피조물이 하나님의 자리를 차지함
칼빈은 이렇게 말했습니다:
“인간의 마음은 우상을 만들어내는 공장이다.”
3. 현대의 우상들.
오늘날 우리는 더 이상 금송아지를 만들지 않습니다. 하지만 마음의 금송아지는 여전히 존재합니다. 현대 사회의 우상은 더욱 이성적이고 정당화된 모습으로 다가옵니다:
물질주의: 돈, 성공, 소유가 인생의 목적이 되고, 하나님은 수단이 되는 삶
인본주의: 자아, 자존감, 자기결정권을 신격화하는 문화
권력과 명예: 사회적 인정, 팔로워 수, 명예욕에 사로잡힌 정체성
이념과 민족주의: 신앙보다 더 절대적인 가치를 부여받는 사상과 국가
자녀 중심주의: 자녀를 절대시하고, 하나님보다 더 중요하게 여기는 가정문화
자녀는 하나님이 맡기신 선물일 뿐, 나의 소유물이 아닙니다. 그러나 많은 부모가 자녀를 삶의 ‘궁극적 가치’로 삼고 있습니다. 자녀의 성공을 위해 예배와 신앙을 양보하는 순간, 자녀는 마음의 우상이 됩니다.
이 우상은 어쩌면 가장 이성적이고, 가장 이해받기 쉬운 우상이지만, 하나님 앞에서는 그것조차 심각한 신앙의 왜곡입니다.
4. 우상 숭배의 결과.
성경은 반복해서 우상숭배가 하나님의 영광을 가로막고, 인간의 삶을 황폐하게 만든다고 경고합니다.
하나님과의 단절 – 로마서 1장. 하나님을 영화롭게 하지 않으면 마음이 어두워짐
영적 타락 – 시편 115. “우상을 만든 자들과 그것을 의지하는 자들이 다 그와 같으리로다.”
심판과 경고 – 신명기 27:15, 요한계시록 21:8: 우상숭배는 심판의 이유가 됨
5. 신앙인의 자세
우상을 깨뜨리고, 하나님께로 우상은 밖에 있는 것이 아니라, 내 마음속에 있습니다.
그래서 신앙인은 이렇게 질문해야 합니다.
“나는 무엇을 가장 두려워하는가?”
“나는 무엇이 없으면 불안해 하는가?”
“나는 무엇을 위해 하나님을 이용하고 있지는 않은가?”
신앙의 출발은 우상을 깨뜨리는 결단에서 시작됩니다. 아브라함이 아버지 데라의 우상을 부순 것처럼, 우리도 과감히 삶의 중심을 다시 ‘하나님’께로 돌려야 합니다.
결론.
가장 위험한 우상은 가장 가까운 곳에 있습니다.
우상이란 하나님 외에 내 삶에 절대적 가치를 부여한 모든 것입니다. 그것은 조각상이 아니라, 내 마음속 자리입니다. 그것은 사상이 될 수도, 자녀일 수도, 나 자신일 수도 있습니다.
우상은 결국 나를 하나님으로 만들고, 하나님을 도구로 만듭니다. 우상을 깨뜨리고 하나님께로 돌아갈 때, 비로소 우리는 참된 자유와 예배, 그리고 신앙의 중심을 회복할 수 있습니다.
2025. 07. 09.
꿈꾸는교회 황기섭목사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교회안내 ㅣ 예배안내 ㅣ 오시는 길 ㅣ 이용약관 ㅣ 개인정보취급방침
주소 : (14344) 경기도 광명시 일직로 12번길 11, 서현빌딩 6층 꿈꾸는교회 TEL : (교회) 02-897-3194, 02-899-2742